추석 연휴 끝나자 '대장동 의혹' 화력 집중한 보수신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례적 수익과 시행" "희한한 사업 구조" 지적
한국일보 "성남시 안정적 수익 확보해 민관합동 개발 장점 살렸다는 주장도 있어"

국민의힘 김기현(가운데) 원내대표가 22일 국회에서 열린 이재명 경기도지사 대장동 특혜의혹 관련 긴급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뉴시스
국민의힘 김기현(가운데) 원내대표가 22일 국회에서 열린 이재명 경기도지사 대장동 특혜의혹 관련 긴급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뉴시스

[PD저널=박수선 기자] 추석 연휴가 끝난 23일, 신문 지면에는 이재명 경기지사가 성남시장 시절 추진한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이 주요 뉴스로 올랐다. 특히 보수신문은 사업 시행사인 ‘화천대유’ 특혜 의혹과 이재명 지사와의 연결고리를 캐는 데 화력을 집중했다. 

<조선일보>는 경찰이 ‘화천대유’의 법인 계좌에서 현금 수십억원이 인출된 ‘수상한 자금흐름’을 포착하고도 소극적으로 대응했다는 소식을 1면 머리기사로 전했다. 

<조선일보>는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화천대유 지분 100%를 가진 경제지 기자 출신 김 아무개씨와 이성문 대표는 그동안 화천대유 회사 자금을 빈번하게 대여받았다”며 사정기관 관계자와 법조계 인사들의 입을 빌려 “현금 수십억원이 빠져나간 것을 덮으려 김씨 등의 대여금으로 회계 처리됐을 가능성을 규명해야 할 것”, “그동안 경찰이 현금으로 인출된 수십억 원의 수령자와 사용처를 추적하지 않은 배경이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4면 <‘대장동 1000배 수익’ 설계한 유동규, 전화번호 바꾸고 잠적>에선 유동규 전 본부장을 의혹의 핵심으로 지목한 뒤 “2010년 이 지사가 성남시장에 당선된 후 시장직 인수위 도시건설분과 간사를 맡았다”, “이 지사가 경기지사로 당선된 후엔 경기관광공사 사장(2018년 10월~2021년 1월)을 지냈다” 등의 이력을 열거하면서 이 지사와의 관계에 주목했다. 

조선일보 9월 23일자 4면 기사.
조선일보 9월 23일자 4면 기사.

<조선일보>는 사설을 통해 “전직 언론인이 세운 시행 업체 ‘화천대유’와 개인 투자자 6명이 지분 7%만 갖고도 50% 대주주인 성남도시개발공사보다 2배 이상 많은 배당금 4040억원을 가져간 것이 상식적으로 있을 수 있냐는 것”이라고 본질을 짚으면서 “이런 결과는 애초 성남도시개발공사가 일정 이익을 우선 배당받은 뒤 추가 이익은 모두 화천대유와 개인 투자자에게 넘기는 희한한 구조로 설계됐기 때문”이라고 했다. 

<중앙일보>도 4면 <자산관리회사 화천대유, 5개 필지 직접 시행 이례적>에서 대장동 프로젝트가 ‘공공개발 형식을 빌린 민간개발 방식’으로 진행됐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사업 방식에 의구심을 제기했다. 

<중앙일보>는 “이 프로젝트에서 자산관리회사인 화천대유가 5개 필지를 ‘직접 시행’한 것에 대해서도 건설부동산업계와 부동산금융업계에서는 이례적인 일이라고 말한다. 대장지구 내 전용면적 85㎡ 이하 아파트 택지의 경쟁률이 182대 1이었는데 화천대유는 이런 필지 5개를 ‘수의계약’으로 확보했다”고 했다. 이어 “대장동 프로젝트는 ‘무늬만 공공개발’ 방식이고, 성남도시개발공사가 수많은 성남시민의 땅을 헐값에 사들여 특정 업체가 ‘떼돈’을 벌게 판을 만들어준 것”이라는 익명의 시행사 대표의 발언을 덧붙였다. 

화천대유 이성문 대표를 인터뷰한 <한국일보>는 “화천대유 지분 100%를 보유한 김모씨와 개인투자자들이 거액의 배당수익을 챙긴 점, 사업자 선정이 공모 마감 하루 만에 결정된 점, 신생 회사가 법조계 고위직 출신을 다수 영입한 점은 화천대유 쪽 해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일보>는 사설에서 “이번 논란은 성남시가 확정이익을 우선 배당받고, 민간 투자자들이 나머지 수익을 거둬가는 수익 배분 방식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다. 이보에선 ‘땅 짚고 헤엄치기’식 사업에서 민간 투자자에게 수익을 몰아주는 방식이라고 비판하지만, 부동산 가격 변동을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성남시가 안정적으로 수익을 확보해 민관합동 개발의 장점을 살렸다는 주장도 있다”고 했다. 

이어 “검찰과 경찰이 조만간 수사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돼 실체적 진실은 수사 결과로 판가름날 수밖에 없다. 수사 과정에서도 구체적인 비리가 나오지 않는다면 이번 논란은 결국 정책적 판단의 영역으로 남게 된다”며 “정쟁으로 소모하기보다는 부동산 개발의 공공성을 조명하는 계기로 삼는 게 생산적인 논쟁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