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에 타지 않는 도서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필독도서 68] 도서관의 삶, 책들의 운명

ⓒ픽사베이

[PD저널=오학준 SBS PD] 도서관이 없었다면 나는 지금처럼 책을 사랑하지 못했을 것이다. 좁은 집들로 자주 이사하다 보면 책을 구입하는 게 꽤 사치스러운 일이라는 걸 쉽게 깨달을 수 있으니까. 지금껏 도서관은 한 번도 나를 거부하지 않았다. 언제나 가까이에서 나에게 가진 것을 내주었다. 도서관에서 책을 빌릴 때마다, 마음 속 도서관은 넓어졌다.

도서관이 나를 조건 없이 환대했기에, 도서관이 홀대 당하는 모습은 고통스럽다. 특히나 책과 도서관을 두고 씨름하는 한 자치단체장의 말들에 어려 있는 완고함은 걱정스럽다. 도서관과 책은 불타버린다 해도 사라지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곱씹는다면 그도 조금은 유연해지지 않을까? 불타버린 도서관에 얽힌 이야기를 다룬 수전 올리언의 <도서관의 삶, 책들의 운명>을 꺼내본 이유다.

유년 시절 도서관을 사랑했지만 바쁜 삶에 한동안 잊어버린 채 살았던 저자는, 남편의 이직으로 인해 로스앤젤레스로 이사를 오게 된다. 그곳에서 아들의 수업 과제를 돕다가 우연히 로스앤젤레스 중앙도서관에서 일어났던 대형 화재에 얽힌 이야기를 듣는데, 당시에 그 사건에 대해 잘 몰랐다는 사실에 놀란 그는 이 사건을 다시 취재하기 시작한다.

수전 올리온 도서관의 삶, 책들의 운명

사건이 발생한 1986년엔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대형 사건들이 연달아 일어났다. 1월엔 우주왕복선 챌린저호가 공중에서 폭발해 우주비행사 7명이 목숨을 잃었고, 4월엔 소련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 폭발 사건이 일어나 수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겪었다. 체르노빌의 이야기가 아직 지면을 차지하던 4월 29일, 로스앤젤레스 중앙도서관은 화마에 휩싸인다.

처음 화재가 발생했을 때, 사람들은 낡은 건물에서 으레 일어나는 잘못된 경보라고 생각했다. 수시로 경보가 잘못 울렸기 때문에, 현장에 도착한 소방관들조차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하지만 원인을 찾기 위해 좁고 복잡한 건물로 소방관들이 진입하자 모든 소장품들을 집어삼킬 불씨가 보였다. 불씨가 도서관 전체를 집어삼키는 데 걸린 시간은 고작 7시간 38분이었다.

용의자를 찾는 데 사람들은 혈안이 되어 있었다. 하지만 발화 원인이 될 현장조차 제대로 남아 있질 않아서 조사는 지지부진했다. 언론 기사엔 어느새 '방화'라는 단어가 자연스럽게 끼어들었다. 그날 처음 그곳에 방문한 금발의 남자가 용의자로 떠올랐고 누군가 몽타주와 닮은 사람을 안다는 제보를 경찰에 전했다. 용의자의 신원은 금방 확인되었다. 파트타임 배우였던 해리 피크였다.

실제로 그는 친구들에게 전화를 걸어 자기가 도서관에 불을 질렀다고 흥분된 목소리로 전했다. 하지만 그를 오래 알고 지내던 친구들은 그 말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면 자신의 말을 끊임없이 바꾸는 데 능숙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책에 별로 관심도 없는 사람이, 무슨 원한이 있어 도서관에 불을 질렀겠는가?

하지만 그의 ‘거짓말’이 발목을 잡았다. 누군가 그가 몽타주와 닮았다고 말했고, 친구들에게 자신의 범행을 '자백'하기도 했다. 게다가 소방관직에 지원했었다는 사실은 결정적으로 그를 의심하는 증거로 작용했다. 실제로 그 무렵 소방대장이자 방화 전문가 존 레너드 오르가 알고보니 로스앤젤레스에서 수천 건의 방화를 저질렀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불에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방관직에 지원했었던 건 아닐까?

그가 정말로 방화를 저질렀을까? 올리언은 확신하지 못한다. 그의 삶이 좌절감, 열등감, 가난으로 인해서 고통스럽긴 했지만 그가 도서관에 불을 질러야 할 명확한 이유는 없었다. 게다가 정황상 그가 도서관에 없었을 가능성도 있었다. 하지만 그의 계속된 거짓말은 화재를 '방화'로 단정짓기에 충분했다. 형사적 책임은 면했지만 그는 사건 이후 '방화범'이라는 꼬리표를 떼지 못했다.

1986년 로스엔젤레스 중앙도서관 화재 당시 모습 ⓒLA Public Library Collection
1986년 로스엔젤레스 중앙도서관 화재 당시 모습 ⓒLA Public Library Collection

저자는 도서관 건물의 역사와 과학 수사의 발전상을 더듬어 보며 '방화'가 아닐 가능성을 추적한다. 오래된 도서관 곳곳은 언제든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커피메이커의 전력량을 도서관의 낡은 배선이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용이 금지된 적도 있고, 낡은 선풍기만으로는 열기를 식힐 수 없어 내부 온도가 35도까지 오르기도 했다. 게다가 당시엔 스프링클러도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60년 가까이 도서관이 버텨오면서, 도서관은 충분히 낡아 있었다.

게다가 사건이 발생 한 지 6년이 지난 1992년 미국 방화 협회는 화재 조사 방법에 관한 최초의 과학적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그간 방화 사건에 적용된 수많은 가정들이 과학적 근거가 없음을 증명했다. 게다가 전 소방관이자 방화조사관인 폴 비버가 만든 <이노선스 프로젝트>에서 수십 개의 방화 사건들을 과학적으로 재검토한 결과 대상 사건의 2/3이 방화가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해리 역시 편견으로 인해 지은 적 없는 범죄의 대가를 치렀던 것은 아닐까?

1993년 4월 해리 피크는 에이즈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강압 수사를 통한 거짓 자백을 유도했다는 이유로 조사 당국을 상대로 1,500만 달러의 소송을 제기한 후 35,000달러를 받는 것으로 합의를 본지 2년이 지난 후였다. 도서관은 해리가 사망한 지 6개월이 지난 1993년 10월 3일 재개장했다.

시민들이 서로의 힘을 모았기에 도서관은 비교적 빠르게 돌아왔다. 수많은 사람들이 불이 난 도서관으로 달려와 자원 봉사로 힘을 보탰다. 서가를 채우기 위한 책을 구매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은 시민들의 기부로 충당했다. 책을 직접 보내거나 소장품을 보낸 사람들도 있었다. 로스앤젤레스에 살고 있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그 바깥에서 도서관을 삶의 일부로 품고 있는 사람들이 참여했다. "때로는 분열되고 괴팍해 보이는" 이 도시에서.

매번 도서관은 불타올랐고, 그 때마다 도서관은 다시 재건되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책들을 불태웠으나 여전히 도서관은 다시 수많은 책들로 채워졌다. 도서관은 단순한 책의 보관소가 아니다. 비록 그 시작은 엘리트의 사교공간이자 수많은 장벽들로 가로막힌 제한된 공간이었지만 오늘날 도서관은 모두를 환영하는 곳이자 환대의 대가를 요구하지 않는 곳이다. 도서관이 불타는 순간, 도서관을 다녀간 수많은 사람들의 마음 속에 도서관은 다시금 재건의 불빛을 피운다. 그러므로 도서관여행자의 책 제목처럼 "도서관은 살아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