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덤정치와 언론운동의 '위험한 관계'...풀어야 할 숙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유언론실천재단 등 '87년 이후 언론운동의 평가와 과제' 세미나 열어

26일 프레스센터 20층 프레스클럽에서 열린 '87년 이후 언론운동의 평가와 과제' 세미나 ⓒPD저널

[PD저널=엄재희 기자] 팬덤정치와 언론운동의 관계를 짚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자유언론실천선언 50주년 준비위원회'와 전국언론노동조합은 1년 앞으로 다가온 ‘자유언론실천선언’ 50주년을 맞아 연속 세미나를 준비했다. 26일 한국프레스센터 프레스클럽에서 열린 첫 번째 세미나 '87년 이후 언론운동의 평가와 과제'의 화두는 언론의 '정치병행성'이었다. 

기조 발언에 나선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은 “정치병행성은 양당 정치에 의한 언론 운동의 종속 내지 언론 운동의 정파성 문제”라며 “언론운동 내부에 나타난 정치병행성 문제로 자유언론실천선언에 담겨있던 언론운동의 기본정신인 ‘어떠한 권력으로부터 간섭받지 않는 언론’ 그 자체가 도전적 과제가 되었다”고 말했다.

발제를 맡은 김동원 언론노조 정책협력실장은 한국 정치 체제가 팬덤정치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언론도 여기에 종속됐다고 분석했다. 김 실장은 “시행령 정치와 대통령 권력의 과잉화로 ‘팬덤 당원’이 등장하고 기존 정당정치 체제는 붕괴했다”며 “깨어있는 시민들이 시민으로서의 정체성보다 지지자로서의 정체성을 앞세우기 시작하면서, 언론도 이 팬덤정치를 활용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김 실장은 “언론노조가 진행한 ‘뉴스룸 세대갈등 토크쇼’에서 연차가 낮은 기자들은 공통적으로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후위기·생태·인권·젠더 문제는 중요하지 않은 이슈로 취급당하고 정치 일정과 경선에 집중한 기사만 중요하게 다뤄진다'고 말했다며 "당장 '이재명' 세 글자만 넣어도 조회수가 눈에 띄게 올라가고 팬덤 정치가 강력한 힘을 발휘하니, '공동화된 정당체제' 현상이 생겨났다"고 진단했다.

김 실장은 “자유언론실천선언의 핵심은 권력으로부터 독립이었지만, 지금과 그때와 정치 상황이 달라졌고 운동 주체도 바뀌었다”며 “팬덤정치에 포획되지 않은 시민을 찾아낼 수 있는지, 언론계 선후배 세대가 어떻게 만나야하는지가 언론운동의 중요한 과제다"고 짚었다. 

토론에 나선 김동찬 언론개혁시민연대 정책위원장은 “기존의 진보 언론운동은 언론의 자유보다는 언론의 수행가치를 중시하면서 ‘좋은 언론’과 ‘나쁜 언론’을 구분하고 ‘나쁜 언론’을 심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이 이분법적인 대결 구도에서 정파성은 정의와 동일시됐고 절차적 정당성은 후순위로 밀렸다”고 했다. 이어 “언론운동은 진보와 보수언론 모두에 적용되는 공통의 저널리즘 규범을 산출하는 작업을 등한시했다"며 "결과적으로, 보수언론의 정파성은 용인되고 진보언론도 정파성에 빠지는 악순환이 이어졌다"고 진단했다.

‘팬덤정치와 언론운동’에 대해 김 정책위원장은 “언론과 언론운동이 팬덤정치로 일정한 이익을 취하는 게 아니라, 팬덤정치를 적극적으로 생산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며 “여기에 포털 등 빅테크 플랫폼 체제에서 정파성은 이제 비즈니스 모델로 굳어졌고, 언론은 정파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심각한 상황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언론운동은 팬덤정치와 언론의 정파성 문제에 적극 개입해야 하고, 군중의 부당한 압력으로부터 언론을 보호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언론개혁의 시급한 과제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정환 슬로우뉴스 대표는 “언론운동의 정치병행성이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 언론개혁을 정치에 의존한 게 더 큰 문제였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난 문재인 정권 시절 언론운동은 치열하게 싸우지 못했는데, 박성재 MBC 사장과 양승동 KBS 사장이 자리를 잡고, 민주당이 국회 과반을 차지하면서 언제라도 입법이 가능하다는 안일한 생각때문이었다”며 “언론개혁은 대통령의 선의로 작동하거나 정권 교체로 가능한 한판 승부가 아닌데도 지난 5년간 골든타임을 흘려보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반성해야하지만 언론운동의 정치병행성 때문이라고 볼 수는 없다”며 “언론운동도 정치행위이고 민주당과 연대하거나 필요하다면 국민의힘과도 손을 잡고 언론개혁을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정치병행성 극복이 아니라 언론의 신뢰 문제로 돌아가야 한다고 짚었다. 그는 뉴스타파가 지난 2019년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때 ‘윤우진 수사 무마 의혹’ 관련 녹음 파일을 공개해 비난에 직면했던 사례를 들면서 “당시 뉴스타파 보도가 정치병행성을 드러냈다고 보는 사람은 없었고, 지금 '김만배 인터뷰' 사태에도 뉴스타파의 저널리즘의 의심하는 사람은 많지 않은데, 그 이유는 뉴스타파가 사실을 중심으로 이야기했기 때문"이라며 “정치 병행성의 경향이 나타날 수는 있지만 이런 오해와 편견을 극복하는 건 사실 보도와 실체적 진실을 추적하는 언론의 신뢰 문제”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