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기술 발전, 윤리강령 제정 시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I 저널리즘의 미래와 취재 제작 윤리 세미나 열려
"AI와 차별화된 콘텐츠 생산...가이드라인 만들어야"

OPEN AI 홈페이지 캡쳐
OPEN AI 홈페이지 캡쳐

[PD저널=엄재희 기자] AI기술은 저널리즘 영역에 이미 깊숙이 들어와 있다. 지난해 챗GPT 출시 이후 생성AI를 활용한 저널리즘 활동은 더욱 활발해졌다. AI가 기사 생성과 편집에 활용되면서 기자 직업 소멸 위기까지 나오고 있다. 동시에 AI활용의 다양한 윤리적 고민도 나온다.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는 27일 이러한 AI 기술 발전과 저널리즘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AI 저널리즘의 미래와 취재 제작 윤리 세미나'를 열었다. 

AI는 오늘날 뉴스 생산의 핵심적 기술로 자리잡았다. LA타임즈는 지진 관련 정보를 수집해 기사를 작성하는 '퀘이크봇'을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스포츠 데이터를 정리해 기사를 만드는 워싱턴포스트의 '헬리오그래프', 기업실적과 시황 기사를 작성하는 내러티브 사이언스의 '퀼' 등은 이미 현장에 안착했다. 국내 언론사 중 MBN은 2020년부터 AI 앵커를 활용해 연간 3000건의 리포트를 내보내고 있다. 

기자가 해야 할 일을 AI가 대체하면서 언론계도 대전환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생성형 AI와 차별화된 콘텐츠 생산이 그 첫 번째 과제로 꼽힌다. 이날 세미나에서 발제를 맡은 최은수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AI석학 교수는 "최근 등장한 지피티-4 터보는 원하는 기사 내용을 입력하면 텍스트는 물론 이미지와 영상까지 만들어내는 AI 창작 시대를 열어냈다"며 "AI가 기사의 밑그림을 그림을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인간 기자는 깊이있는 분석과 해설, 탐사 보도를 통해 AI와 차별화된 시도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짚었다.

27일 열린 'AI 저널리즘의 미래와 취재 제작 윤리 세미나'에서 김창룡 석좌 교수가 발제를 하고 있다. ⓒPD저널

최 교수는 이어 "변화의 주체가 되어야할 곳은 과거의 패러다임에 사로잡혀 있는 언론기관"이라며 "세상은 새로운 DNA를 요구하고 있기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앵글과 새로운 사고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일선 기자들에겐 "이제 기사만 쓰는 기자는 앞서갈 수 없다"며 "독자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차별화된 포인트를 찾아야 하고, 다시 공부를 하면서 새로운 디지털 플랫폼에서 승부를 해야 소외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AI 기술은 동시에 윤리적 쟁점도 낳고 있다. 앞서 이달 10일 국경없는기자회는 '인공지능과 저널리즘을 위한 파리헌장'을 발표했다. 이 '파리헌장'은 '미디어의 기술적 선택에서 윤리를 우선할 것' '편집권의 주체는 사람일 것' '외부의 독립적인 평가를 거칠 것' 등 언론인의 AI 활용에 대한 윤리적 원칙을 정립했다. AP통신은 지난 8월 AI를 다루는 저널리즘 원칙을 담은 스타일북을 새로 도입하는 등 윤리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움직임이 속속 이어지고 있다.

이날 발제를 맡은 김창룡 서울과학기술대학원 석좌교수는 국내 언론계도 AI활용 윤리강령을 제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AI 기술 발달로 가짜뉴스 등 사회적 논란은 더욱 커질 것"이라며 "법의 규제 이전에 자율규제가 중시되어야 하고, 자율규제의 핵심은 윤리강령 가이드라인"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방송통신위원회나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등 규제기관이 먼저 나서서 AI 활용 관련 언론을 어떻게 규제할 것인지 연구를 해야하는데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며 "언론사가 발 빠르게 가이드라인을 만들면 AI 규제 법의 토대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