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유의 카카오 먹통 사태...플랫폼 독점 폐해 질타한 언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주말 동안 카카오 서비스 마비
중앙 "예정된 재앙"...조선 "초연결사회 한순간 초먹통사회 전락"

15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판교 SK C&C 판교 데이터센터에 화재가 발생해 포털사이트 다음과 카카오톡 사용이 일시중단 되었다. 사진은 포털사이트 다음 사이트. ⓒ뉴시스
15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판교 SK C&C 판교 데이터센터에 화재가 발생해 포털사이트 다음과 카카오톡 사용이 일시중단 되었다. 사진은 포털사이트 다음 사이트. ⓒ뉴시스

[PD저널=박수선 기자]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국민 메신저’ 카카오가 먹통이 되면서 사회 곳곳이 멈춰섰다. 17일 1면 톱기사로 ‘카카오 먹통’을 다룬 아침신문은 카카오의 부실한 재난 대응을 비판하면서 이번 사태로 플랫폼 독점 폐해가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번 서비스 장애는 지난 15일 오후 3시 20분경 SK C&C 판교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SK C&C가 안전상의 이유로 전원을 차단한 게 발단이었다. 카카오는 서버 3만 2000대가 멈추면서 아직까지도 서비스를 완전하게 복구하지 못하고 있다. 서버가 대부분 판교 센터에 몰려있고, 이중화 조치도 미흡해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자체 데이터센터를 두고 서버를 분산해 온 네이버는 상대적으로 빨리 서비스를 복구해 카카오는 더욱 할 말이 없게 됐다. 

화재를 예상하지 못했다는 카카오의 해명도 납득하기 어렵다. 

<동아일보>는 17일자 3면 <“화재 전혀 예상 못했다”는 카카오…특정 1곳에만 서버 집중>에서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데도 근본적 대책 마련이 미흡했다”는 비판을 전하며 “네이버 역시 이번 화재가 발생한 같은 데이터 센터를 이용했지만 상대적으로 피해가 크지 않았다는 점도 카카오로서는 뼈아픈 부분이다. 업계에서는 자체 데이터센터 건립 등의 투자에서 카카오가 네이버에 비해 한발 늦었다고 지적한다”고 했다. 

<경향신문>은 3면 <한 바구니 담은 데이터 ‘재난 취약’…분산 관리 ‘유비무환’ 실종>에서 “카카오의 경우 덩치에 걸맞지 않게 데이터센터를 제대로 구축하지 않고 성장에 급급한 게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됐다”고 지적한 뒤 “카카오의 경우 데이터센터를 빌려 쓰고 있어 한계가 있는 데다, 재난 대응 계획도 충분히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는 업계 관계자의 평가를 전했다. 

조선일보 10월 17일자 3면 기사.
조선일보 10월 17일자 3면 기사.

비판은 IT 플랫폼 독점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조선일보>는 1면 <카톡 먹통에 일상 먹통…IT 플랫폼 독점, 피해는 국민이 떠안았다>에서 “이번 사태를 통해 플랫폼 독점 사회로 변모한 한국 사회의 취약성이 여지없이 드러났다. 카카오‧네이버 아이디만 있으면 민간뿐 아니라 정부가 제공하는 각종 편의 서비스를 대부분 이용할 수 있는 ‘초연결 사회’가 한순간에 모든 것이 마비되는 ‘초먹통 사회’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겨레>는 3면 <디지털 블랙아웃…“앱 접속 못해” “콜 못받아 장사 공쳐”>에서 “카카오 먹통 사태로 인한 디지털 블랙아웃은 한국 사회가 단일 플랫폼 사업자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카톡 공화국’임을 단적으로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카카오처럼 시민 수천만명의 생활 전반에 침투해 정부와 기업, 시민을 하나로 묵어놓는 플랫폼을 외국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했다. 

아침신문은 사설을 통해 온라인 플랫폼 독과점 방지, 재난대응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중앙일보>는 “문제는 이번 사고가 ‘예정된 재앙’이라는 점이다. 공룡 온라인 플랫폼의 독점 폐해는 진작에 예고돼 대비책이 필요했던 일”이라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우리도 온라인 플랫폼의 독과점 폐해를 근본적으로 수술해야 한다. 우리 일상을 마비시키는 사회적 재앙까지 초래한다면 이대로 둘 수는 없다”고 했다. 
 
<조선일보>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데이터센터는 국가기간시설 못지않게 중요한 보안 시설이다. 화재, 천재지변, 테러 등 어떤 사태에도 데이터센터는 안전하게 가동되어야 한다”며 “위기 대응에 취약한 민낯을 드러낸 이번 사태를 계기로 ICT 시스템 장애와 이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방안을 민관이 합동으로 전면 재검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일보>는 “정부는 부가통신사업자에 서비스 품질 유지 의무를 부과한 현행법을 카카오가 위반했는지 여부도 따져보고 있다. 디지털 서비스가 무너지면 일상이 멈추고 경제‧사회 활동이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며 “이번 사태의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 하는 이유다. 합리적 피해 보상과 확실한 재발방지책이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라고 책임 규명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