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끊긴 TBS 75억 예산 신설..."정상화 마중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 과방위 TBS 예산 신설 의결 ...확정되면 4~5개월 운영 가능
"체불임금액만 56억원...추가 대책 필요"

ⓒTBS
ⓒTBS

[PD저널 =엄재희 기자] 고사 위기에 놓인 TBS가 정부 예산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내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해당 예산안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본회의 문턱을 넘어야 하지만, 최종 확보된다면 4~5개월 치 운영·제작비로 충당해 TBS 정상화의 마중물로 쓰일 전망이다.

 지난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전체회의를 열어 TBS 운영 지원 예산 74억 8천만 원을 포함한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소관 내년도 예산안을 민주당 주도로 통과시켰다. 민주당 소속 이정헌 의원은 "TBS라는 서울시민의 방송을 폐국으로 몰아간 건 오세훈 서울시장과 국민의힘 서울시 의원들이며 지역 공영방송을 정상화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반면 국민의힘 소속 과방위원들은 "정치적 편향성 논란을 반복해 온 TBS에 신규 재원을 마련해주는 것은 공정성과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반발했다. 

TBS 구성원들은 서울시 지원 조례 폐지로 3년 가까이 제작비가 중단되고 1년 이상 인건비가 지급되지 않는 상황에서 즉각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언론노조 TBS지부는 18일 "이번 지원 예산은 정파적 이해관계가 아닌 TBS 전체의 공적 정보 전달 구조를 정상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지원이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공적 방송의 책임을 멈추지 않았던 TBS 구성원들의 노력에 대한 첫 제도적 판단"이라며 "TBS가 본래의 기능과 자리를 되찾을 때까지 공적 책임을 끝까지 지켜낼 것"이라고 밝혔다.

TBS지부는 국민의힘의 비판에 대해서 "TBS는 특정 세력의 도구가 아니라 서울시민의 필수적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는 플랫폼이며, 이 기능을 회복시키는 조치를 '선거용'으로 규정하는 입장은 시민적 권리를 지나치게 단순화한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다만, 이번 예산 지원은 단기적 처방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TBS 지원조례 중단 전인 2022년 TBS 한 해 출연금은 320억원이었다. 송지연 언론노조 TBS 지부장은 "직원들이 내년 1월부터 월급을 받으면서 방송을 제작한다면 4~5개월정도 버틸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순환무급휴직 등 허리띠를 졸라매면 몇 달 더 버틸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현재 TBS는 체불임금액은 56억원, 미지급 임차료 및 관리비는 43억원에 달한다. 

송 지부장은 "이번 예산 지원은 TBS 정상화의 마중물"이라며 "방송을 제작하면서 상업 광고 허용이나 서울시의 추가 지원 등을 통해 TBS를 다시 살려낼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PD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